홈처치) 수능 -D40일 릴레이 집중 기도 학부모 특강 " 엄마의 말 공부"
2025-10-05 15:33:33
하수용
조회수   6

https://youtu.be/wC0DLKYfwtc

 

제목을 입력해주세요.png

 

 

 

엄마의 말 공부

 

아이디어: 엄마의 말 공부, 회복탄력성의 근원을 찾다

1. 도입: 왜 엄마의 '말 공부'가 필요한가?

• 많은 부모가 육아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아이에게 적절한 말을 떠올리지 못해 후회하는 일이 반복됩니다.

• 부모의 부정적인 말은 아이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고, 결국 아이가 스스로를 비난하고 포기하도록 만듭니다. 아이의 문제 행동의 이면에는 부모의 말이 상처가 되어 뿌리 깊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 **"엄마의 말 공부"**는 단순한 위로를 넘어 아이의 감정을 안정시키고 회복시켜, 아이가 올바른 삶을 살아가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등대와 나침반이 되어야 합니다.

2. 핵심 주제: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단 한 명의 어른

• 아이의 문제 행동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마음을 움직이고 변화시키는 강력한 말이 필요합니다.

• 아이의 뇌 발달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말은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을 발달시켜 궁극적으로 회복탄력성을 갖도록 돕습니다.

• 미국 카우아이섬의 종단 연구에 따르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성장한 아이들(회복탄력성이 높은 아이들)에게는 몇 가지 공통적인 보호 요인이 있었습니다.

• 가장 두드러진 보호 요인은 바로 **"어떤 상황에서도 무조건적으로 이해하고 지지해 준 단 한 명의 어른의 존재"**였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관계는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전 기지'가 되어, 힘든 상황에서도 기댈 수 있는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3. 기독교 세계관과의 연결점 (정서적 지원의 근원)

• 이러한 심리적 안전 기지 역할을 하는 정서적 지원은 가족 외적인 곳에서도 제공되었습니다.

• 자료는 회복탄력성이 높은 아이들이 **"4-H, YMCA, YWCA와 같은 비영리 기구와 교회 등 종교적 그룹에서 정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는 사실을 연구 결과를 통해 보여줍니다.

• 즉, **교회(종교적 그룹)**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정서적 지지심리적 안전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통로였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 **《엄마의 말 공부》**가 가르치는 엄마의 전문 용어(예: 공감의 말 "힘들었겠다", 치유의 말 "이유가 있을 거야")는 바로 아이의 마음을 무조건적으로 이해하고 지지하여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탄력성을 길러주는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4. 결론: 어머니의 말은 사랑과 회복의 통로

• 아이의 존재를 빛나게 하는 힘은 부모의 말에 있습니다. 부모의 시선은 아이에게 **'나는 빛나는 존재'**라는 확신을 심어주고, 부모의 말은 **'나는 존중받는 사람'**이라는 자존감을 키워줍니다.

• 마찬가지로, 종교적 그룹에서 제공하는 변함없는 정서적 지원처럼, 부모가 아이의 마음 깊숙이 숨어 있는 긍정적인 의도를 찾아 격려해 줄 때, 아이는 스스로 변화하고 성장하게 됩니다.

• 엄마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마음속에 쌓여 결국 아이의 인생을 결정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의 역할에 있어, 사랑과 지지를 전달하는 말은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닫고 다시 일어설 힘을 주는 생명력의 원천이 됩니다.

0.jpg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48